크래머의 법칙 정리
MathArtin Algebra 에서 설명하는 Crammer's Rule 을 정리해 보았다. 중간에 나온 Theorem의 증명은 생략했다.
Crammer's Rule 은 연립일차방정식(systems of linear equations)의 해를 행렬식(determinant)으로 구하는 방법이다. 이를 유도하기 위해 우선 아래와 같이 행렬 A의 행렬식을 j번째 column에 대한 expansion by minors 로 정리해보자.
(식1)... det A = (-1)j+1a1jdet A1j + (-1)j+2a2jdet A2j + ... + (-1)j+nanjdet Anj.
여기서 Aij는 행렬 A에서 i번째 row와 j번째 column을 제거한(crossing out) 행렬이다. 위 식에 αij = (-1)i+j det Aij 를 넣어서 단순화 시켜보자.
(식2)... det A = a1j α1j + a2j α2j + ... + anj αnj.
(식2)를 잘 기억해 두고, 다음에는 adjoint 를 정의해 보자. 행렬 A의 adjoint 란 n × n 행렬로 (i,j)의 entry인 (adj)ij 가 (-1)i+j det Aji 인 행렬이다. 즉, αji 이며, 아래와 같이 transpose의 형태로도 표현할 수 있다.
(adj A) = (αij)t
adjoint 의 예를 몇개 더 들어보자. 아래는 2 × 2 행렬의 adjoint 이다.
a | b |
c | d |
d | -b |
-c | a |
그리고 아래의 3 × 3 행렬의 경우이다.
1 | 1 | 2 |
0 | 2 | 1 |
1 | 0 | 2 |
4 | 1 | -2 |
-2 | 0 | 1 |
-3 | -1 | 2 |
4 | -2 | -3 |
1 | 0 | -1 |
-2 | -1 | 2 |
이번에는 아래 Theorem 과 Corollary 를 살펴보자.
Theorem. δ = det A 라고 하자. 그러면,
(adj A) ⋅ A = δ I, and A ⋅ (adj A) = δ I.
Corollary. 행렬A의 행렬식 δ 가 0이 아니라면,
위의 Corollary 를 사용하여 고등학교때 외웠던 2 × 2 행렬의 행렬식을 유도해낼 수 있다. 즉,
a | b |
c | d |
d | -b |
-c | a |
그리고 앞서 나왔던 3 × 3 행렬의 determinant는 1인데, 해당 행렬과 adjoint 행렬을 곱해보면 3 × 3 의 identity matrix가 나온다.
이어서 연립방정식의 해를 행렬로 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. AX = B 의 형태의 식을 떠올릴 수 있고 양변에 행렬 A의 역행렬을 곱해주고 위의 Corollary를 가져온다고 했을 때,
where δ = det A.
위와 같은 형태가 된다. 그리고 우변의 식은 B가 column vector 이기에 j번째 (row의) 변수 xj를 아래와 같이 풀어쓸 수 있다.
=
(식3)의 괄호안 (b1α1j + ... + bnαnj) 을 살펴보면 (식2) 와 무척 닮았음을 알 수 있다. 즉, (식2) 에서 aij 을 bi 로 바꾸면 똑같게 되는 것이다. 여기서 발견한 내용을 사용해보자.
행렬 A의 j번째 column을 column vector B로 치환한 행렬을 Mj 라고 하자. Mj 의 determinant를 expansion by minors 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.
(식4)... det Mj = (b1α1j + ... + bnαnj)
이 식이 왜 말이 되는지는 α 의 정의와 아래 그림이 참고가 되면 좋겠다.
(식3)과 (식4)를 조합하면, 아래와 같이 j번째 X를 구할 수 있고, 이게 Crammer's Rule 이 되겠다.
끝으로 이걸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용하는지는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면 되겠다.
'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ymmetric Group (0) | 2017.05.08 |
---|---|
Abelian Group (0) | 2017.05.08 |
Group - Law of composition (0) | 2017.04.28 |
Group (0) | 2017.04.28 |
증명(proof) 관련 용어 정리 (0) | 2017.02.02 |